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컴공과
- c++
- 문제풀이
- 오퍼레이팅시스템
- 코딩
- DP
- Stack
- 정석
- cs
- vector
- OS
- 구현
- 백준
- 오에스
- 개발
- 스택
- 너비우선탐색
- 브루트포스
- 정석학술정보관
- Operating System
- 코테
- 자료구조
- coding
- 컴공
- 북리뷰
- 알고리즘
- Computer science
- 그래프
- bfs
- 컴퓨터공학과
- Today
- Total
Little Jay
노인과 바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본문
‘노인과 바다’는 1952년에 최초로 출간된 소설책으로 헤밍웨이 작가가 195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끼쳤다. 소설로서의 성공은 물론 영화로도 여러번 제작되어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가슴깊이 잘 간직되어 있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도 계속해서 새로운 개정판이 출간되는 ‘노인과 바다’는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겪는 희망, 좌절, 어려움 등의 감정들을 극복해 나가는 장면들을 담아 그려낸 소설이다. 다른 소설들과는 다르게 간결하게 그려졌다.
이 책은 어부로 살아가는 어느 한 노인, 산티아고를 보여주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하루도 빠짐없이 물고기를 잡아야 하는 어부지만, 84일간 단 한 마리도 물고기를 잡지 못해 주변 사람들은 산티아고가 불운을 만나고 모든 운을 다했다며 살라오라고 노인을 부르며 걱정을 한다. 하지만 노인은 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는 어부 일밖에 없었기에 매일 바다에 나가 물고기를 잡기 위해 노력한다. 노인은 어릴 적부터 산티아고와 같이 물고기를 잡고, 일했던 한 소년은 그의 아버지의 권유로 다른 배를 타게 되었지만, 항상 마음만은 산티아고를 걱정하며 함께하려고 했다. 이 부분에서 우리나라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좋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른과 아이의 우정은 없을 것이라고 여겨지나, 이 소설책에서 동료의식은 물론 서로를 아끼는 마음이 있었기에 함께하는 마음이 생겨났다고 생각한다.
노인은 절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바다로 나가 물고기를 잡은 산티아고는 아주 먼 바다까지 나아가 그동안 낚지 못해 쌓인 한을 달려줄 거대한 물고기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보통 물고기가 아닌 그가 잡은 것은 청새치로 참치와 비슷한 종류의 물고기로 예상이 되는데 그가 타고 있는 배보다도 훨씬 크고 힘이 세서 3일간 외로이 혼자서 사투를 벌인 끝에 청새치를 드디어 잡게 된다. 워낙 크기도 무게도어마어마한 탓에 손에 쥐가 나 움직이지 않을 때까지 버틴 결과 그의 손은 감각이 사라졌고, 끝까지 줄을 꼭 잡고 있었다.
84일 간의 물고기를 잡지 못한 마음과 오랜 사투를 끝낸 산티아고는 성공의 기쁨과 안도감을 가졌다. 하지만 동시에 청새치의 죽음으로 넓은 바다에 퍼진 피 냄새를 맡고 상어가 달려들어 그는 좌절을 하게 된다. 상어떼로 인해 살이 온통 뜯겨나게 되었고, 결국 항구에 도착해서는 거대한 뼈만 가지고 돌아오게 된다. 청새치의 뼈를 본 동네 사람들은 그를 안타까워하지만 그는 이 상황에서 슬퍼하기에 앞서 피곤에 지쳐 바로 집에 들어가 잠에 드는 것으로 이 소설은 마무리가 된다.
이 소설을 읽고 나는 3가지로 정의를 하고 싶다. 첫 번째는 희망이다. 다른 어부였면 84일이라는 긴 시간동안 얻은 수확이 전혀 없다면, 포기하고 다른 일을 찾을 것 같지만 이에 비해 주인공은 85일 째 되는 날, 청새치를 만나기까지 절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신의 일을 해 나갔다. 두 번째는 자신의 한계를 넘는 것읻. 다른 사람들이라면 자신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면 쉽게 포기하는 사람들이 다반사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3일동안 낮과 밤을 가리지 않았고, 물고기를 잡는 데에만 집중했고, 그 결과 5m가 넘는 큰 청새치를 잡게 되었다. 청새치를 잡은 후에도 계속 줄을 잡고 있어야 했고, 이로 인해 그의 손에는 하루종일 피가 나는 등 엉망이었다. 그는 자신의 한계를 넘어 섰기에 청새치를 잡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굳은 의지가 그의 한계를 넘어 서는데 도움이 되었다. 과정 속에서 어려움이 생길 때 도망가고 피하는 요즘 현대인들에 있어 필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는 성실함이다. 그는 84일이라는 긴 시간동안 고기를 못 잡았고, 결국에는 큰 청새치를 잡게 되었지만, 갖고 오지 못했을 때의 그 좌절감을 모두 물리친 것은 성실함이라는 덕목이라 생각된다. 앞서 말한 3개의 덕목 말고도 주인공에게 영향을 미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그것은 바로 소년이다. 주인공 옆에는 항상 소년이 같이 있었기에 함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주인공에게 큰 용기도 생겼다고 생각한다. 요즘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도 다른 누군가와 함께 같이 하고 싶다는 마음을 갖고 자신의 한계를 뛰어 넘으면서 성실함과 꾸준함의 덕목을 기본으로 희망을 가지고 일하며 살아간다면 주인공이 겪은 약 90일 간의 긴 사투처럼 우리의 인생에 있어서도 여러 사투들을 이겨내어 각자의 성공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노자의 뇌(기쁨, 슬픔, 느낌의 뇌과학) - 안토니오 다마지오 (0) | 2022.11.01 |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조세희 (1) | 2022.10.01 |
죽음의 수용소에서 - 빅터 프랭클 (0) | 2022.08.01 |
Crito - 플라톤 & A Clean Well Lighted Place - 헤밍웨이 (0) | 2022.07.01 |
바이러스 폭풍 - 네이선 울프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