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
- bfs
- 그래프
- OS
- 개발
- c++
- 구현
- Computer science
- 컴퓨터공학과
- 스택
- 코테
- 브루트포스
- 자료구조
- 정석학술정보관
- Operating System
- 오퍼레이팅시스템
- 북리뷰
- coding
- cs
- 컴공과
- Stack
- 문제풀이
- 정석
- vector
- 백준
- DP
- 너비우선탐색
- 오에스
- 알고리즘
- 컴공
- Today
- Total
목록Linux (4)
Little Jay

Process Creation Direct하게 Process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out과 PCB를 위한 메모리 공간을 할댕해준다. 이때 a.out 파일의 code와 data를 메모리에 오리고 Call Stack을 생성해준다. 그 다음 PCB를 Initialize해준다. 이제 Process가 생성되었으니 이를 ready list에 올리고 execute하면 된다. Process를 생성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먼저 New Batch Job, 즉 load&run하는 경우에 OS가 JCL과 같은 일련의 batch job control stream을 제공해준다. 또한 Interactive Logon에서 새로운 Process가 생성이 되는데 예를 들어 User가 새로운 Terminal에..
Main Objective of OS Operating System의 주요 목적을 이야기 하라고 하면 세 가지의 측면을 이야기 해야한다. Convenience Efficiency Ability to Evolve OS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컴퓨터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고, OS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Resources)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유연한 설계로 변화가 있어도 끊임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Role of OS OS의 목적을 살펴보았으니 이제 실제 OS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자. OS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중재자(Mediator)로서의 역할이다. 이는 다양한 Interface를 제공하는 동시에 프로그램을 실행, 개발, I/O 장치 접근, 파일 접근 제어, 시스..

Termination Process는 세 가지 이유로 종료가 된다. 먼저 main 함수의 routine에 의해 자발적으로 종료가 되는 경우, exit함수로 자발적인 종료를 호출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종료를 수행하는 signal을 받을때이다. 다들 알고있겠지만 exit함수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고 넘어가자면, exit함수는 말그대로 process를 terminate시킨다. 이 함수에는 번호가 들어가는데, 그 범위는 0~255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 0은 정상종료의 의미, 0이 아닌 경우에는 error상황이다. C의 stdlib.h 헤더파일에는 void atexit(void *(func) (void)); 가 들어가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의 블로그를 참조하면 되겠다. 이 함수는 exit할 때 다른 함수..

Creating New Process 새로운 Process를 만드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다. Directly하게 Process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지만, Cloning과 Replacing 기법을 사용해서 새로운 Control Flow를 지니는 Process를 생성한다. Clonging하는 것은 말 그대로 복제본을 하나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생성된 Process를 Child Process라고 부르는데, 이 Process는 Parent Process, 즉 자신을 만든 Parent Process와 PID(Process ID)만 빼고 나머지가 같다. 이러한 Child Process를 만드는 것은 fork() system call을 통해 가능하다. 이를 Process Spawning이라고도 하며, Cal..